바쁜 분들을 위한 간단 요약
"Provided that"은 법률 문서에서 조건을 나타내며, “단, ~하는 경우에 한해” 또는 “~한다면”으로 번역됩니다. 이 표현은 조건부 조항을 설정하거나 제한을 명시할 때 사용되며,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"On condition that", "as long as", "only if" 등 유사한 조건부 표현과는 뉘앙스와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번역 시 조건의 중요성과 문맥을 고려해 법적 효력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법률 문서에서는 조건을 설정하거나 예외 조항을 명시할 때 정확한 표현이 필요합니다. 그 중에서도 "provided that"은 조건을 나타내는 핵심 구문으로, 문맥에 따라 번역 및 해석에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"provided that"의 정의, 용례, 그리고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들을 살펴보고, 각각의 번역 시 유의할 점을 예문과 함께 제시하겠습니다.
1. "provided that"의 정의
"provided that"은 기본적으로 조건부 조항을 의미합니다. "provided that"을 포함하는 문장은 주로 앞선 내용에 대해 특정 조건이 성립할 경우에만 그 내용이 유효함을 뜻하며, 법적 문서에서 이 조건을 제시하거나 제한을 두는 용도로 사용됩니다.
- 기본 의미 : "provided that"은 “단, ~하는 경우에 한해” 또는 “~한다면” 정도로 번역됩니다.
- 법적 사용 : 법적 용어로서의 "provided that"은 조건을 나타내며, 그 성립 여부에 따라 앞의 내용이 달라지도록 합니다.
2. "provided that"의 예문과 해석
"provided that"은 다양한 법적 문서에서 조건을 설정하는 데 매우 자주 등장합니다. 아래 예문들은 이를 번역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- 예문 1 : The contract shall remain valid, provided that both parties agree to the terms annually.
해석 : 양 당사자가 매년 조건에 동의하는 경우에 한해 계약은 유효합니다.
해설 : 이 문장에서 "provided that"은 ‘매년 조건에 동의할 때만’ 유효한 계약 조건을 명시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“단, 매년 조건에 동의할 경우에 한하여”라는 의미로 번역할 수 있으며, "if"와 비슷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"if"가 단순 조건을 나타내는 반면, "provided that"은 약간 더 격식적이며 법적 효력이 강조되는 표현입니다.
- 예문 2 : The lessee may use the property for commercial purposes, provided that such use complies with local regulations.
해석 : 임차인은 해당 용도가 지역 규제를 준수하는 경우에 한해 상업적 목적으로 부동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해설 : 여기서 "provided that"은 규정 준수라는 조건을 필수로 제시하고 있습니다. "if"와는 달리 "provided that"을 사용함으로써 임차인의 상업적 용도가 법적 규제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용 권리가 박탈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. 이처럼 법적 문서에서는 조건의 성립 여부가 엄격히 요구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.
3. "provided that"과 유사한 표현
"provided that"과 비슷한 조건부 표현들이 몇 가지 있으며, 이들은 특정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. 다음은 법적 문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사 표현과 그 예문들입니다.
A. "on condition that"
- 기본 의미 : "on condition that"은 “~라는 조건으로”라는 뜻으로, "provided that"과 유사한 의미를 전달합니다. 다만, 조금 더 직접적으로 조건을 명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- 예문 : The transfer of ownership shall be effective on condition that all payments have been received.
- 해석 : 모든 대금이 지급된 조건으로 소유권 이전이 효력을 가집니다.
- 해설 : "on condition that"은 단서 조항에 자주 사용되며, 특정 조건의 충족 여부가 중요할 때 사용됩니다. 번역 시 “~라는 조건으로”와 같은 명확한 조건부 표현으로 바꿔 표현하면 의미가 더 명확해집니다.
B. "as long as"
- 기본 의미 : “~하는 한”으로 번역되며, 조건이 지속되는 동안 어떤 행위나 상황이 유지될 때 사용합니다. 법적 문서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공식적인 느낌을 주어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, 장기 조건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.
- 예문 : The employee is entitled to health benefits as long as they remain employed with the company.
- 해석 : 직원이 회사에 재직하는 한, 건강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.
- 해설 : “as long as”는 조건이 유지되는 동안 그 내용이 계속 유효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, “~하는 한” 정도로 번역됩니다. 이 표현은 조건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경우 유용합니다.
C. "only if"
- 기본 의미 : "only if"는 “오직 ~하는 경우에만”이라는 뜻으로,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만 해당 조항이 적용되도록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.
- 예문 : The tenant may terminate the lease only if they provide a 60-day notice.
- 해석 : 임차인은 60일 전에 통지를 제공하는 경우에만 임대차 계약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.
- 해설 : "only if"는 특정 조건이 단일한 기준일 때 효과적이며, 법적 문서에서는 강조를 위한 표현으로 주로 사용됩니다. 번역 시 조건을 더 명확히 부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4. 번역 시 유의할 점
법률 문서에서 "provided that"의 번역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조건의 중요성 : "provided that"은 단순한 조건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, “단, ~하는 경우에 한해”와 같이 법적 효과를 강조하여 번역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문맥에 따른 해석 : 동일한 조건부 표현이라도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법적 문서에서의 “provided that”은 단순 조건이 아닌 조건을 부과하는 내용일 수 있으므로, 상황에 맞는 번역을 적용해야 합니다.
- 다른 조건 표현과의 차이 : "if"는 기본적인 조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반면, "provided that"은 법적 문서에서 조건의 필수성을 부각하는 데 더 적합합니다. 이 차이를 이해하고 각각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번역 시 중요합니다.
"provided that"은 법률 문서에서 조건과 예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으로, 번역 시 조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표현 외에도 "on condition that," "as long as," "only if" 등 유사한 조건부 표현이 있으며, 각각의 문맥에 맞는 적절한 번역을 통해 법적 효력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
💡 오트란의 번역 솔루션으로 번역을 간단하고 정확하게!
오트란은 법률 전문 AI 번역 모델을 제공하여, Affray와 같은 복잡한 법률 용어도 문맥과 맥락에 맞게 효과적으로 번역할 수 있어요.
특히, AI를 활용한 초벌 번역과 전문가 검수 과정을 통해 정확성을 극대화하고, 번역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에요.
번역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에요. 법적, 문화적 맥락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죠. 오트란과 함께 Affray와 같은 법률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
활용하면, 영어권 법률 문서 번역에서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거예요!😊
E-mail : contact@ailinggo.ai
찾아오시는 길
본사 :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충혼길 52번길 10, 3층 302호-116(온의동, 드림타워)
기술연구소 :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113길 7, N237빌딩 4층 417호
바쁜 분들을 위한 간단 요약
"Provided that"은 법률 문서에서 조건을 나타내며, “단, ~하는 경우에 한해” 또는 “~한다면”으로 번역됩니다. 이 표현은 조건부 조항을 설정하거나 제한을 명시할 때 사용되며,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"On condition that", "as long as", "only if" 등 유사한 조건부 표현과는 뉘앙스와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번역 시 조건의 중요성과 문맥을 고려해 법적 효력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법률 문서에서는 조건을 설정하거나 예외 조항을 명시할 때 정확한 표현이 필요합니다. 그 중에서도 "provided that"은 조건을 나타내는 핵심 구문으로, 문맥에 따라 번역 및 해석에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"provided that"의 정의, 용례, 그리고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들을 살펴보고, 각각의 번역 시 유의할 점을 예문과 함께 제시하겠습니다.
1. "provided that"의 정의
"provided that"은 기본적으로 조건부 조항을 의미합니다. "provided that"을 포함하는 문장은 주로 앞선 내용에 대해 특정 조건이 성립할 경우에만 그 내용이 유효함을 뜻하며, 법적 문서에서 이 조건을 제시하거나 제한을 두는 용도로 사용됩니다.
2. "provided that"의 예문과 해석
"provided that"은 다양한 법적 문서에서 조건을 설정하는 데 매우 자주 등장합니다. 아래 예문들은 이를 번역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해석 : 양 당사자가 매년 조건에 동의하는 경우에 한해 계약은 유효합니다.
해설 : 이 문장에서 "provided that"은 ‘매년 조건에 동의할 때만’ 유효한 계약 조건을 명시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“단, 매년 조건에 동의할 경우에 한하여”라는 의미로 번역할 수 있으며, "if"와 비슷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"if"가 단순 조건을 나타내는 반면, "provided that"은 약간 더 격식적이며 법적 효력이 강조되는 표현입니다.
해석 : 임차인은 해당 용도가 지역 규제를 준수하는 경우에 한해 상업적 목적으로 부동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해설 : 여기서 "provided that"은 규정 준수라는 조건을 필수로 제시하고 있습니다. "if"와는 달리 "provided that"을 사용함으로써 임차인의 상업적 용도가 법적 규제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용 권리가 박탈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. 이처럼 법적 문서에서는 조건의 성립 여부가 엄격히 요구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.
3. "provided that"과 유사한 표현
"provided that"과 비슷한 조건부 표현들이 몇 가지 있으며, 이들은 특정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. 다음은 법적 문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사 표현과 그 예문들입니다.
A. "on condition that"
B. "as long as"
C. "only if"
4. 번역 시 유의할 점
법률 문서에서 "provided that"의 번역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.
"provided that"은 법률 문서에서 조건과 예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으로, 번역 시 조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표현 외에도 "on condition that," "as long as," "only if" 등 유사한 조건부 표현이 있으며, 각각의 문맥에 맞는 적절한 번역을 통해 법적 효력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
💡 오트란의 번역 솔루션으로 번역을 간단하고 정확하게!
오트란은 법률 전문 AI 번역 모델을 제공하여, Affray와 같은 복잡한 법률 용어도 문맥과 맥락에 맞게 효과적으로 번역할 수 있어요.
특히, AI를 활용한 초벌 번역과 전문가 검수 과정을 통해 정확성을 극대화하고, 번역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에요.
번역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에요. 법적, 문화적 맥락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죠. 오트란과 함께 Affray와 같은 법률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
활용하면, 영어권 법률 문서 번역에서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거예요!😊
법률문서 번역 문의하기
Tel : 02-2135-3633
E-mail : contact@ailinggo.ai
찾아오시는 길
본사 :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충혼길 52번길 10, 3층 302호-116(온의동, 드림타워)
기술연구소 :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113길 7, N237빌딩 4층 417호